▲ 그동안 여러 제도적 약점을 지적받아왔던 동물등록제도가 동물의 '비문'을 활용한 첨단 바이오 인식 기술을 통해 개선된다. 사진제공=연합뉴스


2021년까지 7억여 원 투입
기존 동물등록제 약점 보완
정확도·효율성·실용성 고려



올바른 동물보호·복지 문화정착을 위한 '동물 등록제'를 활성화하고자 동물의 비문(코 무늬·鼻紋) 등 첨단 바이오 인식 기술을 도입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1년까지 총 6억 9000여만 원을 투입해 '바이오 인식 활용 동물등록방식 개발' 연구 사업을 진행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 연구는 '동물보호관리시스템'과 연동해 사용할 수 있도록 동물의 생체정보 등록 시스템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농식품부는 반려동물 보호자가 편리하게 반려동물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공무원도 현장에서 활용하기 편한 기술을 개발하는 등 동물등록제를 더 활성화하기 위해 이같은 사업을 추진 중이다.
 
또한 현재 인식표를 목에 거는 방식은 인식표가 자칫 떨어질 수 있고 고의로 제거하기도 쉽기 때문에 이 부분도 새로운 등록 시스템의 개발 배경이 됐다. 특히 유기 동물이 발생했을 때 각 지자체가 현장에서 더 쉽게 동물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동물의 비문은 사람의 지문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개체마다 고유한 모양·무늬가 있어 이를 등록하면 사람이 신분증에 지문을 등록하듯 '동물의 생체 신분증'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비문 외에도 홍채, 귀 뒤 정맥 등 다양한 부위의 등록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바이오 인식 기술이 정착된 사람과 달리 동물은 표준화 작업이 아직 이뤄지지 않아 제각각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등록 기술을 개발하는 업체마다 자기 기술의 정확도가 99.9%라고 주장하지만 이를 검증하기는 어렵다"며 "같은 비문을 활용해도 어떤 업체는 코를 대고 어떤 곳은 사진을 찍는 등 방식이 달라 검증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비문을 중심으로 연구 계획을 세운 업체를 선정해 컨소시엄을 구성할 예정이다. 따라서 바이오 인식 기술을 바탕으로 한 동물등록기술도 비문을 중심으로 우선 추진될 전망이다.
 
농식품부는 이번 연구에서 '동물 등록 정확도 제고', '가격 등 효율성 담보', '현장 적용 가능성 향상' 등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출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동물 개체 인식 소프트웨어의 오작동율을 낮추고 보안 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바이오 인식을 활용한 동물등록 방식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한다.
 
나아가 동물 등록 인증 체계와 인증 제도 운영의 청사진을 마련하고 이를 활용한 효과적인 동물 등록제를 2021년까지 시범 운영하는 것이 목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바이오 인식 기술을 활용한 동물등록방식의 과학적 근거를 연구하고 비문의 경우 몇 개월령에 생성되는지, 나중에 바뀌지는 않는 것인지 자세히 들여다보게 될 것"이라며 "동물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올바른 반려동물문화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해뉴스 이현동 기자 hdlee@gimhaenews.co.kr

저작권자 © 김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